UPDATED. 2024-04-26 17:56 (금)

힐팁 동영상 콘텐츠‘네이버 지식백과’ & ‘다음카카오 다음백과’에서도 만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이것’ 삼키면 병원으로
아이가 ‘이것’ 삼키면 병원으로
검사 필요한 이물질 종류 & 치료
  • 정별 기자
  • 승인 2024.02.02 14: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이가 ‘이것’ 삼키면 병원으로 
검사 필요한 이물질 종류 & 치료


※ “우리 아이가 무언가 삼켰어요”  

어린이를 키우는 가정에선 아이가 위험한 이물질에 노출되지 않게 항상 주의를 기울입니다. 하지만 순진한 아이는 이 같은 관심이 무색하게 순간적으로 이물질을 집어서 입으로 ‘꿀꺽~’ 삼킵니다. 보호자들이 아이와 함께 응급실을 찾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우리 아이가 어떤 이물질을 삼켰을 때 병원 치료가 필요한지 알아보겠습니다.


※ underline1. 집어 삼키는 다양한 물건들

아이들은 호기심이 많습니다. 세상을 알아가기 위해 본능적으로 모든 촉각을 동원합니다. 특히 손과 입은 가장 쉽고 유용한 자극이어서 무언가를 자꾸 입에 넣어보거나, 집어서 먹습니다.

* 아이들이 삼키는 이물질 종류 
-장난감
-건전지
-동전
-자석
-안전핀


※ underline2. 생후 6개월부터 삼키기 시작

아이들은 팔‧다리에 힘을 주기 시작하는 생후 6개월부터 제대로 된 인지능력이 생기는 4세까지 이물질을 많이 삼키는 것으로 보고됩니다.

[Check!] 보호자가 몰라서 늦게 발견하기도 해 
아이가 이물질을 삼킨 직후에는 거의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때문에 보호자가 모를 수 있습니다. 이 때 배설물과 함께 이물질이 모두 배출되면 다행입니다. 하지만 아이가 이물질을 삼킨 후 한동안 문제가 진행 돼도 보호자가 인지하지 못하다가, 나중에 발견돼 상황이 안 좋아지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치료를 해도 합병증이 생길 우려가 있고, 예후도 좋지 않습니다.


※ underline3. 병원 찾아야 할 ‘위험한’ 이물질 

위험하지 않은 이물질들은 삼킨 후 대부분 배설물과 함께 잘 배출됩니다. 때문에 아이가 이물질을 먹었다고 무조건 입원 치료를 하진 않습니다. 그러나 삼켰을 때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위험한 이물질들이 있습니다. 

① 칼 조각‧핀 등 날카로운 것
-크기가 5cm 이상이면 식도‧장의 관문 통과 못해
-배출되지 않고 소화관 막힘‧손상 일으킬 수 있어 

② 고흡수성 폴리머
-‘개구리알’ 장난감이 대표적이며, 물 먹으면 커져 장관 막아  
-X선 검사로도 잘 보이지 않고, 진단 늦어져서 위험한 물질 

③ 자석 
-알록달록 맛있게 생긴 ‘구슬 자석’은 대표적인 이물질 
-2개 이상 삼켰을 때 천공 등 유발할 수 있어 매우 위험
-외국에서도 2015년부터 제품마다 경고 문구 표기 의무

④ 버튼형 알칼리 건전지
-약하고 좁은 식도에 잘 걸리고, 짧은 시간에 문제 나타나
-주변 조직의 압박괴사 및 전류‧알칼리 손상, 식도 천공 발생


※ underline4. 이물질의 위치에 따른 치료법 

아이가 위험한 이물질을 삼킨 것이 확인‧의심되면 우선 검사를 통해 이물질이 몸속 어디에 있는지 파악합니다. 이후 이물질의 위치에 따라서 치료를 진행합니다.

① 이물질이 식도‧위에 있는 경우 
-응급 내시경을 이용해서 제거해야 한다 
-식도에 걸린 버튼형 알칼리 건전지는 빨리 꺼내야 예후가 좋다

② 이물질이 소장에 있는 경우 
-수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입원해서 관찰한다
-증상 없이 배설물과 함께 배출되면 치료가 필요 없다


※ MEMO

이물질이 아이의 소장‧대장에 있는데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거나, 2일 이상 이물질이 같은 위치에 고정돼 있는 것이 확인되면 장 막힘과 천공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수술을 통해 이물질을 꺼내고, 필요하면 장 절제 또는 장 재건 등의 소화관 치료를 시행해야 문제가 해결됩니다.

* 취재 도움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아외과 전호종 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