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6 17:56 (금)

힐팁 동영상 콘텐츠‘네이버 지식백과’ & ‘다음카카오 다음백과’에서도 만날 수 있습니다.

부정맥 ‘심방세동’ 수술 예후‧재발률, 좌심방 상태가 좌우
부정맥 ‘심방세동’ 수술 예후‧재발률, 좌심방 상태가 좌우
‘심장 초음파 수치 모델’ 개발‧‧‧섬유화 및 혈액 배출 속도 영향 커
  • 최수아 기자
  • 승인 2023.08.28 11: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출처 : 123RF.com]
[출처 : 123RF.com]

부정맥 수술 후 치료 예후와 재발률은 ‘좌심방’ 변형 정도와 ‘좌심방이’ 혈액 배출 속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좌심방이’는 좌심방 옆에 붙어 있는 귀 모양처럼 생긴 곳이다. 부정맥 환자에게 흔한 뇌졸중을 일으키는 혈전의 약 90%가 여기서 만들어진다.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박성지·김지훈 교수, 심장외과 정동섭 교수 연구팀은 부정맥의 일종인 심방세동으로 흉강경 부정맥 수술 뒤 심장 초음파 검사에서 좌심방의 섬유화가 심할수록, ‘좌심방이’ 배출 속도가 낮을수록 예후가 안 좋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심방세동은 인구 고령화로 증가하는 빈맥성 부정맥 중 하나로, 심장이 분당 400~600회 정도 불규칙하게 매우 빠르게 떨리는 질환이다.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국제 심혈관 학술지(Frontiers in Cardiovascular Medicine)와 일본심장학회지(Circulation Journal) 최근호에 부정맥 환자에서 흉강경 부정맥 수술의 예후를 가늠하는 지표로 ‘심장 초음파 수치 모델’을 제시했다.

연구팀이 2012년부터 2015년 삼성서울병원에서 심방세동으로 흉강경 부정맥 수술을 받은 환자 128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 심장 초음파 △경식도(내시경) 심장 초음파에서 측정한 좌심방 압력 △‘좌심방이’ 배출 속도 수치를 분석한 결과다.

흉강경 부정맥 수술은 가슴 주변에 작은 구멍을 낸 뒤 흉강경을 넣어 심장에서 부정맥이 발생하는 부위를 고주파로 절제하는 방법이다. 내과적 치료와 병행할 수 있어서 ‘하이브리드 부정맥 치료법’으로 불린다.

기존 수술은 가슴을 열고 심장을 멈춘 뒤 수술을 해야 한다. 하지만 흉강경 부정맥 수술은 심장이 뛰고 있는 상태에서도 가능하다. 수술 난도가 높고, 술기를 익히기 힘들어 국내에서는 삼성서울병원을 비롯한 일부 병원만 시행 중이다.

특히 흉강경 부정맥 수술은 부정맥 환자에서 뇌졸중의 원인인 혈전이 주로 생기는 ‘좌심방이’를 떼어낼 수 있는 만큼 뇌졸중 등 관련 질환 합병증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흉강경 부정맥 수술 후 부정맥 재발에 관해서 명확히 밝혀진 바 없었다. 기존 부정맥 수술과 부정맥 시술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위험도를 추정해야 했다.

특히 소규모 연구로 부정맥이 발생하는 좌심방의 섬유화가 부정맥의 재발과 관련 있을 가능성이 제시됐다. 그러나 섬유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조직 검사가 어려워, 대규모 연구가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연구팀은 “비침습적 진단 검사 모델을 개발한 덕분에 대규모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며 “이번 연구에서도 좌심방 조직의 섬유화 정도가 낮을수록 부정맥 수술 이후 재발 위험이 낮아진다는 것을 확인, 추후 새 표준 진단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팀이 특수 심장 초음파로 측정한 좌심방 스트레인 수치가 좌심방 조직의 섬유화 정도와 일치한다는 걸 증명한 덕분이다.

연구팀은 진단검사 모델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환자의 ‘좌심방이’ 조직을 확보해서 좌심방 섬유화 정도를 △경증 △중등도 △중증 등 세 단계로 분류했다.

이를 바탕으로 평균 5년 동안 심방세동 재발률을 비교한 결과 좌심방 섬유화 정도에 따라 △경증 23.3% △중등도 51.4% △중증 53.2%가 재발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환자 부담이 큰 조직 검사를 시행하지 않아도 좌심방 스트레인 수치로 섬유화 정도를 나눌 수 있고, 이를 이용해서 재발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단초를 얻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부정맥 시술 전 꼭 해야 하는 경식도(내시경) 심장 초음파 검사를 통해서도 재발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함께 개발했다.

연구팀은 “전문 인력 및 장비 부족으로 특수 심장 초음파를 할 여력이 없을 때도 경식도 심장 초음파로 예후를 예측할 수 있다”며 “환자들의 재발 위험을 보다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팀은 좌심방이 배출 속도에 따라 △정상군(40cm/s 이상) △중간군(20cm/s 이상 40cm/s 미만) △저하군(20cm/s 미만)으로 나누고, 각 군별 재발률을 비교했다.

일반적으로 좌심방이 배출 속도가 높으면 좌심방이의 움직임이 양호하다는 의미여서 재발률이 낮을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에서 전체 환자의 3년 이후 정상박동 유지율은 65.3%였다. 좌심방이 배출 속도가 정상군과 비교해서 저하군은 심방세동 재발 위험이 6.11배, 중간군은 2.7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수술 이후 심방세동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좌심방이 배출 속도는 21cm/s로 확인됐다. 이 수치보다 낮으면 수술 후 심방세동 재발률이 75%로, 배출 속도가 21cm/s 이상인 군의 25%보다 높았다.

심장뇌혈관병원 이미징센터장 겸 판막센터장 박성지 교수는 “흉강경 부정맥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심방세동 재발에 관한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심장초음파 모델을 발견한 것은 치료의 ‘새 이정표’를 만든 것”이라며 “앞으로 흉강경 부정맥 수술의 예후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