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6-14 18:21 (금)

힐팁 동영상 콘텐츠‘네이버 지식백과’ & ‘다음카카오 다음백과’에서도 만날 수 있습니다.

어린이‧장년‧만성질환자도 부담 적어요
어린이‧장년‧만성질환자도 부담 적어요
치아 무리 최소화한 ‘바이오 급속 교정’
  • 조승빈 기자
  • 승인 2024.05.24 17: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어린이‧장년‧만성질환자도 부담 적어요
치아 무리 최소화한 ‘바이오 급속 교정’


※ 삐뚤빼뚤한 치아를 가지런히
부정교합을 바로 잡는 교정 치료는 크게 치아에만 장치를 부착하는 ‘일반 교정’, 양악수술처럼 전신 마취 후 진행하는 ‘수술 교정’으로 구분됐습니다. 최근에는 일반 교정과 수술 교정의 중간 영역인 ‘바이오 급속 교정’의 적용이 늘고 있습니다. 수술 교정과 유사한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는 ‘바이오 급속 교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Click!] 생리적 반응 유도 ‘바이오 급속 교정’ 
‘바이오 급속 교정’은 1979년 경희대치과병원이 개발했습니다. 여러 교정 치료의 장점을 종합해서 발전시켰습니다. 부정교합 환자에게 디지털 교합 분석, 디지털 악기능 검사 등을 활용해서 원인을 찾고, 다양한 바이오 교정 장치를 적용해서 생리적(Bio) 반응을 유도‧치료합니다. 경조직‧연조직‧악관절을 포함한 모든 기능이 조화로운 치료 효과가 입증됐습니다. 


※ 치료 목적에 따라 착오 없이 진행 
‘바이오 급속 교정’의 ‘급속’이라는 단어만 보면 ‘빠르다’는 이미지가 떠오릅니다. 하지만 급속은 시행착오를 거치지 않고, 치료 목적에 맞는 계획대로, 최소한의 교정 도구로 진행한다는 뜻입니다. 특히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면 발치 등으로 건강한 치아를 건드리지 않고, 치아 이동도 최소화해서 무리를 줄이면서 진행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 ‘바이오 급속 교정’ 특징 
-시행착오 없이 최소한의 교정 장치를 이용한다
-되도록 건강한 치아는 발치를 하지 않는다 
-치아 이동을 최소화해서 치아의 무리를 줄인다


※ 다양한 부정교합 치료 대상의 부담↓
‘바이오 급속 교정’은 교정 치료가 필요한 모든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치아 공간 및 복잡한 골격 문제 있는 어린이들에게 효과가 큽니다. 아울러 장년층과 당뇨병‧골다공증 등 다양한 만성 질환이 있는 환자들도 △교정용 미니 임플란트‧플레이트 △부착형 바이오 교정 장치 등을 적용하면 치료 부담을 줄이면서 원하는 교정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바이오 급속 교정 이점 높은 경우 
-나이가 많은 장년층
-다양한 만성 질환자
-치아 공간 및 복잡한 골격 문제 있는 아이 
 

※ 경희대치과병원 바이오급속교정센터
   최첨단 진단‧분석 장비들 
-T-scan : 턱의 교합 압력 분석
-Bio-EMG : 악안면 근전도 분석
-JVA(Joint Vibration Analysis) : 턱관절 잡음 측정 
-JT(Jaw Tracker) : 하악 한계 운동 및 움직임 분석
-Watchpat‧Resmed : 폐쇄성 수면무호흡 지표 측정


[Check!] 
경희대치과병원 바이오급속교정센터는 치료 결과를 끌어올릴 수 있는 시스템과 장치를 직접 개발해서 사용합니다. 주요 결과물은 △트위맥 프리스크립션 브라켓 시스템 △오라픽스 간접 접착 지그 시스템 △디지털 캐비닛 시스템 △그래피 디지털 스튜디오 △상악골 확장 장치 등입니다.
‘그래피 디지털 스튜디오’는 스캔 데이터를 이용한 3D 프린팅 방식의 투명 교정 장치와 바이오 가철식 교정 장치를 제작하는데 활용합니다. ‘상악골 확장 장치’는 확장을 하는 동안 어금니에 일체의 밴드나 복잡한 장치를 적용하지 않고, 확장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 부정교합 교정 치료 ‘궁금증 풀이’ 

Q1. 교정 치료는 치아를 빼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
살리기 어려울 정도로 심한 치아 우식(충치) 및 치주 질환 치아가 있으면 추후 보철치료와 임플란트 치료 가능성을 없애기 위해 발치 교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특히 무리한 비발치 교정은 △치조골 밖으로 밀려 나오는 치아 뿌리 △과도한 상악골 확장에 따른 교합 불안정 △얼굴 변화 등이 생길 수 있어서 장‧단점을 분석한 후 발치 여부를 판단해야 합니다. 

※ 문제 있는 치아 뽑지 않는 비발치 교정의 부작용  
-얼굴에 변화 발생 
-치조골 밖으로 밀려 나오는 치아 뿌리 
-과도한 상악골 확장에 따른 교합 불안정 


Q2. 나이 많은 장년층 이상은 교정 치료가 불가능하다?
60대 이후 장년층도 필요한 경우 교정이 가능합니다. 세부적으로는 △심한 밀집을 보이는 치열 △치아 사이의 공간이 많이 발생한 치열 △어금니가 빠졌는데 오랫동안 방치해서 맞은편 어금니가 내려온 치열 등입니다. 연령이 많아도 치주 관리를 잘 하면서 바이오 급속 교정 치료를 적용하면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장년층에서 교정 치료 고려하는 경우 
-심한 밀집을 보이는 치열 
-치아 사이의 공간이 많은 치열 
-어금니가 빠졌는데 맞은편 어금니가 내려온 치열


[건강 ON] 교정 후 대부분 치아‧잇몸 안정화

교정 치료를 하면 잇몸 상태가 안 좋아지고, 치아가 많이 흔들린다고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치석을 제거하는 스케일링을 받아도 일시적으로 치아가 흔들리거나 시린 증상을 경험합니다. 
교정 치료도 약 1년 동안 음식을 씹는 게 어색하고, 힘이 약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치아가 박혀 있는 치조골의 밀도와 강도가 다시 정상화되는 회복 시간이 지나고, 유지 장치를 이용해서 관리하면 대부분 치아와 잇몸이 안정화 됩니다.  

* 취재 도움 : 경희대치과병원 교정과(바이오급속교정센터) 김성훈 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