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6-14 18:21 (금)

힐팁 동영상 콘텐츠‘네이버 지식백과’ & ‘다음카카오 다음백과’에서도 만날 수 있습니다.

‘건선성 관절염’ 환자의 도우미
‘건선성 관절염’ 환자의 도우미
‘압박복’ 착용하면 좋아지는 4가지
  • 정별 기자
  • 승인 2024.05.23 15: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선성 관절염’ 환자의 도우미
‘압박복’ 착용하면 좋아지는 4가지



※ 다양한 질환 위험도 키우는 ‘건선’

‘건선’은 만성 염증성 피부 질환입니다. 피부에 홍반과 하얀 각질이 생기면서 가려움 등 여러 가지 증상이 찾아옵니다. 주요 발생 부위는 △팔꿈치 △두피 △무릎 △엉덩이 등 자극이 많은 곳입니다. 특히 건선에 따른 문제는 피부에 그치지 않고, 전신에 다양한 질환의 발생 위험을 높입니다.

※ 건선으로 발병 위험 커지는 전신 질환
-건선성 관절염
-심혈관 질환
-뇌졸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비만
-당뇨병


※ 건선의 특이적 합병증 ‘건선성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은 건선 환자에게 찾아오는 특이적인 합병증 중 하나입니다. 모든 관절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손 △발 △척추에서 많이 관찰됩니다. 주요 증상은 △좌우 비대칭적으로 관절을 침범하는 염증 △관절 통증 △부종 △관절 뻣뻣함 △관절 변형 등입니다.   
건선성 관절염이 찾아오면 약물 등을 이용한 치료와 함께 슬리브‧장갑‧양말 같은 압박복을 착용하면 증상을 개선해서 일상생활‧운동 등 활동을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가벼운 압력이 주는 다양한 효능  

압박복의 건선성 관절염 증상 완화에 대한 효능 연구는 다양합니다. 특히 압박복이 관절과 주변 연조직에 가하는 가벼운 압력은 염증과 부기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고됩니다. 세부적으로는 △혈액 순환 △통증 감소 △활동성을 도와서 신체 전반에 편안함을 줍니다.


[Check!] 

대부분의 압박복은 신축성 있는 편직물로 만듭니다. 제품에 따라 다양한 색상‧사이즈는 물론 압력 수준이 다르며, 수은주 밀리미터(mmHg)로 측정‧표기합니다. 압박복을 사용할 땐 너무 빡빡하거나 느슨하지 않게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서 사용해야 합니다. 이렇게 건선성 관절염 환자가 압박복을 잘 이용하면 4가지 이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 압박복 압력 & 적용 증상   

① 8~15mmHg의 아주 가벼운 압력
-피곤한 다리 등 비특이적 증상

② 15~20mmHg의 가벼운 압력
-경미한 신체 부종

③ 20~30mmHg의 보통 압력
-중등도의 부기 & 정맥류 

④ 30~40mmHg 이상의 높은 압력 
-심한 정맥류‧부기‧림프부종 및 기타 의학적 상태


※ underline 1. 관절 통증 완화

압박복을 착용하면 압박 지점에 가해지는 신체 부위의 스트레스를 줄입니다. 이 같은 효과로 건선성 관절염의 통증을 완화시킵니다. 


※ underline 2. 손‧발의 부기 개선
 
건선성 관절염 환자는 손과 발이 잘 붓습니다. 압축 장갑과 압축 양말을 착용하면 부기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 underline 3. 갑작스런 증상 악화 예방

압박 슬리브는 일상적인 활동 중에 찾아오는 건선성 관절염 증상을 예방하고, 염증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이 같은 효과를 얻으려면 활동 시작 전에 압박 슬리브를 착용하고, 1~2시간 유지합니다.


※ underline 4. 운동 시 관절 & 근력 안정성↑ 

건선성 관절염이 있을 때 운동은 매우 유익합니다. 이런 측면에서 압박복은 건선성 관절염 환자의 관절 안정성을 높여줍니다. 관절 증상에 따라 거의 하루종일 압박복을 착용해도 됩니다. 
아울러 압박복의 압축 소재는 관절 주변의 근육과 연조직을 지탱‧지지합니다. 특히 국제학술지 ‘Sport Medicine’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이 같은 효과는 운동 후 며칠 동안 통증을 덜 느끼게 합니다.

※ 압박복 착용한 건선성 관절염 환자의 운동 효과 
-유산소 및 근력 운동 참여율을 높인다
-유연성과 근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증상을 완화하고, 기분을 좋게 한다


※ MEMO

압박복은 피부에 홍반과 하얀 각질 등 건선 증상이 있어서 자극을 받으면 안 되는 부위에는 착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압박복 때문에 증상이 더 악화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팔과 다리의 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힌 말초동맥질환이 있어도 사용하면 안 됩니다. 압박복 사용 전과 사용 후 궁금한 점은 의사 등 전문가와 상의해야 합니다.

* 참고 자료 : CreakyJoints / UPMC / Sport Medicine / University of Pittsburgh Medical Center / ActiveCare Physical Therapy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