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9 14:23 (월)

힐팁 동영상 콘텐츠‘네이버 지식백과’ & ‘다음카카오 다음백과’에서도 만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우울감이 부추긴 국내 자살사망자
코로나19 우울감이 부추긴 국내 자살사망자
2021년 1만3352명‧‧‧노인‧청년 등 정신건강 취약계층 심각
  • 최수아 기자
  • 승인 2022.09.27 19: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영향으로 우울감 등이 커지며, 국내 자살사망자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2021년 자살사망자 수는 1만3352명으로 지난해 대비 157명(1.2%) 증가했다.

인구 10만 명 당 자살자 수인 자살률도 2021년 26.0명으로 전년 대비 0.3명(1.2%) 뛰었다. 자살 위험은 노인‧청년 등 정신건강 취약계층에서 더 심각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 같은 국내 자살사망자 현실은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21년 사망원인통계에 고스란히 녹아 있다. 통계청은 매년 9월경 자살(고의적 자해) 등을 포함한 사망원인통계를 발표하고 있다.

아울러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간 연령표준화 자살률(OECD 표준인구 10만 명당 명) 비교 시에도 OECD 평균 11.1명에 비해 2021년 기준 23.6명으로 가장 높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통계와 관련 “앞으로 청년·노인 등 정신건강 취약계층과 자살 시도자 등 고위험군을 적극 발굴 및 지원해서 소중한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우울위험군‧자살생각률 증가 영향

2021년 자살사망자 1만3352명을 성별로 보면 남성이 여성보다 2배 이상 많았고, 남성과 여성 자살률은 전년과 비교해 모두 증가했다.

세부적으로는 남성 자살사망자가 총 9193명, 자살률은 35.9명으로 분석됐다. 여성 자살사망자는 4159명, 자살률은 16.2명이었다.

자살률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80세 이상(61.3명)이 가장 높고 △70대(41.8명) △50대(30.1명) △60대(28.4명) △40대(28.2명) △30대(27.3명) △20대(23.5명) △10대(7.1명) 순이었다.

지난해 대비 자살률 증가가 높은 연령대는 △10대(10.1%) △20대(8.5%) △70대(7.7%) 순이었고, 가장 많이 감소한 연령대는 △60대(-5.7%) △40대(-3.4%) △80세 이상(-2.2%)이다.

자살은 사회 구조적‧개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여서 자살률 증가의 원인을 어느 하나로 설명하긴 어렵다.

복지부는 지난해 자살률 증가가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우울감 및 자살생각률 증가, 10‧20대 청소년‧청년층 자살률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했다.

이와 관련 2022년 6월 복지부가 발표한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 결과 우울위험군은 2019년 3.2%에서 16.9%로 5배나 증가했다. 자살생각률도 같은 기간 4.6%에서 12.7%로 3배 뛰었다.

아울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우울증으로 진료받은 환자도 2021년 93만3481명으로 전년대비 10.0% 상승했다.

복지부는 “특히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경제·사회적 영향이 본격화되는 향후 2~3년간 급격히 자살이 증가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우려했다.
 

[자료 보건복지부]
[자료 보건복지부]


▶향후 자살예방정책 추진 계획은?

정부는 코로나19에 따른 정신건강 악화와 자살률 증가 위험에 대비해서 종교계 등 민간과 함께 하는 생명존중캠페인, 자살시도자·유족 등 자살 고위험군에 대한 지원 강화 등을 통해 자살 예방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수행기관은 2017년 42개에서 2022년 79개로 늘었고, 자살 유족 원스톱 서비스 지원사업은 2021년 3개 시도에서 2022년 9개 시도로 확대했다.

또 복지부는 지난 8월 자살예방법 개정 및 시행으로, 경찰·소방이 당사자 동의 이전에 자살예방센터로 자살시도자·유족 등 정보를 연계할 수 있도록 해서 자살 고위험군에 대한 지원을 확대‧강화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자살시도자의 자살위험은 일반인보다 20~30배 이상 높고(자살실태조사, 2018), 자살 유족의 우울장애 발병 위험은 일반인 대비 18배 이상, 자살위험은 8~9배 높다(전홍진, 2018).

복지부는 향후 제5차 자살예방기본계획(2023~2027) 수립을 통해 5년간 추진해 나갈 자살예방 정책 방향을 제시하며, 범국민 생명존중문화 확산, 자살 고위험군 선제적 발굴·개입 및 자살 예방 전달체계 확대·개편 등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복지부 곽숙영 정신건강정책관은 “그동안 감소 추세였던 자살률이 코로나19 장기화로 다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며 “정부는 코로나19 재유행이 안정화됨에 따라 국민의 정신 건강을 보다 면밀히 살펴서 코로나19 이전의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자살률 감소를 위해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선제적·적극적 개입 노력을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