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123RF.com]](/news/photo/202309/5750_17672_409.jpg)
“내가 회사에 기여하는 게 많은데, 보람도 못 느끼겠고 연봉은 고작...”
우울증이 없는 근로자가 자살 생각을 한다면, 그 원인은 ‘보상 부족’ 때문이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가 한국 직장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3년 연구 결과 우울증이 없는데도 자살 생각이 있다고 보고한 비율이 16.2%로 높았다.
자살 생각을 갖고 있는 사람은 우울증을 앓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자살 위험 그룹을 넓힐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Psychiatry Investigation'에 최근 게재됐다.
강북삼성병원 전상원‧조성준 교수, 전혜정 전공의 연구팀은 2015~2019년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의 직장인 마음건강 증진 서비스인 ‘심케어’를 이용한 근로자 1만4425명을 대상으로 우울증이 없는 근로자의 자살 생각 발생 위험을 높이는 직무 스트레스 요인을 분석했다.
그 결과 두드러진 우울증 증상이 없지만 자살 생각이 있는 근로자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젊은 연령보다 중‧장년 이상 연령에서 많았다.
이 같은 위험 그룹 근로자들은 스트레스 사건 이후 빠르게 회복하는 힘인 ‘심리 회복 탄력성’이 낮았다.
아울러 개인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스트레스가 크고, 불안 증상이 두드러졌으며, 수면 시간이 일반인들보다 적었다.
특히 직장 내 ‘보상 부족’은 우울 증상이 없어도 자살 생각을 유발하는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직장 내 적절한 보상은 근로자들이 불안장애와 우울증에 걸리지 않게 하는 보호 요인으로 작용한다.
직장인들의 보상은 업무에 대해 기대하고 있는 보상의 정도를 나타낸다. 세부적으로는 △직업에 대한 개인의 만족도 △금전적 보상 수준 △직장 내에서 존중 받음 △일에 열정을 보일 경우 받는 적절한 보상 등이다.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상원 교수는 “적절한 보상이 없으면 근로자들의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정신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며 “특히 직장 내 보상 부족은 우울 증상이 없어도 자살 생각까지 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갖는 의미가 크다”고 덧붙였다.
조성준 교수는 “직장인들의 정신 건강 평가는 대부분 우울증이 있는 사람을 주요 평가 대상으로 삼고 있어서 우울증이 없는 자살 위험 그룹이 배제될 수 있다”며 “위험 그룹의 개념을 확장해, 효과적인 예방 전략과 대상 지원 체계를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