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신성 당뇨병 관리 돕는 운동 & 식사 방법
-매 식사 후 빠르게 걷기 또는 상체 운동을 합니다.
이 때 운동시간은 10분으로 시작해 점차 늘려 나갑니다.
-운동 강도와 지속 시간은 천천히 증가시킵니다.
-운동 후 저혈당에 특히 주의합니다.
※임신성 당뇨병과 운동
-임신성 당뇨병 환자의 운동은 혈당조절과 과도한 태아 성장을 예방합니다.
-내과적, 산과적 금기가 없다면, 중등도 강도의 운동을 시작합니다.
-20-30분 걷기 운동과 같이 가벼운 운동을 하루 1-2회 시행합니다.
※임신 중 운동을 금기하는 경우
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하는 산모는 운동을 하지 않도록 합니다.
-자궁출혈
-조기 양수막 파열
-자궁경관 무력증
-임신성 고혈압
-조기 진통
-자율신경장애
-심한 혈관 합병증이 동반된 경우
※임신성 당뇨병 관리를 위한 식사요법
-식후 혈당 개선을 위해 탄수화물을 약간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탄수화물 50%, 단백질 20%, 지방 30%)
-아침 식사 시 탄수화물은 30-45g으로 제한하여 섭취합니다.
-식후 고혈당, 케톤산증, 새벽 저혈당 예방을 위해 탄수화물은 식사 3회, 간식 3회로 분배하여 섭취합니다.
-당지수(GI)*가 낮은 음식을 섭취합니다.
-신선한 채소, 해조류, 버섯 등 충분한 섬유소가 포함된 음식을
섭취합니다.
-술, 음료수, 카페인 음료는 삼가합니다.
*당지수(glycemic index, GI)
당질을 함유한 식품을 섭취 후 당질의 흡수속도를 반영하여 당질의 질을 비교할 수 있도록 수치화한 값. 당지수가 낮은 식품일수록 섭취 후 당질의 흡수속도가 낮아 상대적으로 식후혈당의 변화가 적습니다.
*당지수가 높은 식품(GI 70 이상)
-바게트빵 93
-식빵 91
-감자 90
-백미 84
-당근 80
-옥수수 75
*당지수가 보통인 식품(GI 55-69)
-파인애플 65
-호박 65
-고구마 55
-바나나 55
*당지수가 낮은 식품(GI 55 이하)
-현미 54
-포도 50
-사과 36
-키위 35
-토마토 30
-딸기 29
-무 26
-양상추 23
-오이 23
※임신성 당뇨병 환자의 분만 후 관리는 왜 필요한가요?
임신성 당뇨병의 병력이 있는 여성 중 5-10%는 분만 직후 40-60%는 분만 10년 후 제2형 당뇨병으로 이환됩니다. 임신성 당뇨병 환자가 제2형 당뇨병으로 이환된 경우 만성 합병증 발생 빈도 및 심혈관계 합병증에 의한 사망률이 높으므로 특히 주의 깊은 관리가 필요합니다.
※임신성 당뇨병 환자의 분만 후 관리
*체중 조절
-체중은 분만 후 약 3개월 내에 임신 전 체중으로 되돌리는 것을 권장합니다.
-당뇨병 예방을 위해 분만 후에도 지속적인 식사요법 운동요법, 체중 관리 등을 통한 건강관리가 필요합니다.
*모유 수유
모유에 영향을 줄 만한 약물을 복용하지 않는 한 모유수유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산모 : 체중감량에 도움, 자궁수축이 촉진되어 산후 출혈의 예방
-아기 : 모유는 아기에게 최상의 영양원, 풍부한 면역성분 높은 흡수율
*선별 검사
-분만 6-12주 후, 75g 경구당부하검사를 통해 당뇨병 발생 여부를 확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