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래 ‘그릿(GRIT)’이었어
직장인 우울증 예방 묘약 ‘열정 & 끈기’
▶
지각이 잦고, 결근도 하나요?
동료보다 업무 성과가 낮나요?
직장 생활에 따른 ‘우울증’일 수 있어요
▶
세계보건기구(WHO)
“우울증은 2030년 직장인의 생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질병이다”
▶
※ 근로자 우울증 & 긍정심리학적 관점 ‘그릿(GRIT)’
단점을 수정하는 것보다 강점을 발달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춘 긍정심리학적 관점이 각광 받고 있습니다. 특히 목표를 끝까지 해내는 힘으로 정의되는 ‘그릿(GRIT)’에 대한 관심이 큽니다.
▶
※ 미국 심리학자 ‘앤젤라 더크워스’가 개념화한 용어
‘그릿(GRIT)’
“목표한 바를 열망하고 해내는 ‘열정’과 난관이 닥쳐도 포기하지 않고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하는 ‘끈기’를 뜻합니다.”
▶
※ 주로 ‘학창시절’ 형성 되는 그릿의 토대
-의도된 연습
-높은 목적의식
-긍정적인 사고
-허용적인 양육방식
-성취 경험
▶
※ ‘그릿’이 우리나라 직장인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상원‧조성준‧정슬아 교수팀)
* 2020~2022년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의 심케어 서비스(직장인 마음건강 증진 서비스) 이용 근로자 1만1422명의 우울증 발생 요인 분석
* 그릿은 8문항의 GRIT 척도검사를 통해 측정했으며, 결과값이 높을수록 높은 끈기 또는 열정을 지닌 것으로 판단
* 우울증은 CES-D 척도 검사를 통해 측정했으며, 결과값이 높을수록 우울 증상이 심한 것을 의미
▶
※ ‘그릿’ 우울증 예방 효과 확인
그릿이 높은 근로자일수록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고, 통제감을 높게 인지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우울 증상을 적게 느꼈습니다.
(연구 결과 국제전문학술지 ‘Brain Sciences’ 게재)
▶
※ 학창시절부터 열정 & 끈기 키우세요
“이번 연구는 직장인의 우울증 발생에 있어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높은 열정과 끈기가 예방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특히 우울증 예방을 위해 학창 시절부터 열정과 끈기를 키우는 교육이 중요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