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9 16:37 (금)

힐팁 동영상 콘텐츠‘네이버 지식백과’ & ‘다음카카오 다음백과’에서도 만날 수 있습니다.

“가계 수입 늘면 심혈관 질환에 따른 사망 줄어”
“가계 수입 늘면 심혈관 질환에 따른 사망 줄어”
하위 소득층 사망 위험, 상위보다 최대 13배 높아
  • 이충희 기자
  • 승인 2019.07.10 10: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계 수입이 증가하면 심혈관 질환에 따른 사망 위험이 낮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상‧하위 소득층간 사망률은 최대 13배까지 차이가 났다.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성지동 교수팀(가정의학과 송윤미‧순환기내과 홍경표 교수)은 2002년부터 2013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표본코호트를 토대로 17만8812명의 수입‧건강검진이력‧사인 등을 비교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6월 국제학술지 ‘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 온라인에 게재됐다.

연구 대상자들은 연구가 시작된 2002년 당시 소득을 기준으로 나누었다. 상‧하위 30%씩과 중위 40%의 세 그룹으로 나누어 상‧중‧하위 소득층으로 분류했다.

또 정기적인 건강검진 이력이 있고 허혈성 심장 질환, 뇌졸중, 심부전 및 암 병력이 없던 사람들로 선별했다.

10년의 추적 기간 중 대상자의 4.1%가 사망했는데, 그 중 0.9%의 원인이 심혈관계 질환이었다.

아울러 상위 소득층 사망자 3.6% 중 0.7%가 심혈관 질환으로 사망했고, 중‧하위 소득층에 비해 사망률과 심혈관 질환 사망률이 가장 낮았다. 하위 소득층은 총사망률 5.5%에 심혈관 사망률 1.2%였다.

상위 소득층은 수입 변동에도 사망률이 큰 차이가 없었다. 수입이 증가했다가 감소하는 오르내림이 있던 사람들은 사망률이 1%로 가장 낮았다. 수입이 감소하던 사람들은 사망률이 4%로 다소 높았다.

중위 소득층부턴 수입 변동에 따라 사망률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수입이 고정되거나 감소 하던 사람들은 사망률이 8~9%로 수입 상승세 혹은 오르내림을 경험한 사람들보다 사망률이 4배 이상 높았다. 수입이 감소하던 상위 소득층 사망률보다도 2배 이상 높은 수치다.

하위 소득층 중 수입 변동이 없던 사람들의 사망률이 13%로 가장 높았다. 심지어 수입이 감소하던 상위 소득층보다 3배 이상 높았다.

반면 소득 분위를 불문하고 소득이 증가하거나 오르내림이 있던 사람들은 사망률이 2~4%로 큰 차이가 없었다.

연구팀에 따르면 소득 분위에 따라 사망률이 달라지는 이유는 복합적인 것으로 분석된다.

하위 소득층은 흡연, 운동 부족, 불건강한 식습관 같은 위험 요인들의 영향을 받는다. 또 고지혈증에 대한 치료 등 적절한 예방 조치를 받지 못하는 상황이 심혈관 질환에 의한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과거 미국 연구 중에는 수입 증가가 건강관리를 하도록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도 있었다.

성지동 교수는 “소득 수준에 따라 확연하게 심혈관 질환 사망률이 차이가 있어서 소득 불평등이 실제 사회 구성원들의 건강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소득이 증가한 경우 심혈관 질환 사망률이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성 교수는 이어 “소득 양극화를 완화시키는 복지 정책이 복지 자체로서 의미가 있을 뿐 아니라 사회 구성원들의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